맨위로가기

난바라 시게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바라 시게루는 일본의 정치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며, 1889년 가가와현에서 태어나 1974년 사망했다.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로 근무했으며, 이후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 교수를 거쳐 도쿄 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독일 관념론을 연구하며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했고, 1946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활동하며 전후 일본 헌법 심의에 참여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요시다 시게루 수상과 대립했으며, 저서로 '국가와 종교', '피히테의 정치철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치무라 간조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우치무라 간조 - 류영모
    류영모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종교 사상가이자 교육자로, 유불도 기독교 사상을 융합한 '얼나' 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산학교 교장을 지내고 은퇴 후 농사를 지으며 제자들을 가르치고 《노자》를 번역하기도 했다.
  • 도쿄 대학 총장 -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계몽 사상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천부인권론을 주창하며 계몽 운동에 앞장섰으나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국가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도쿄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입헌정우회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펼쳤다.
  • 도쿄 대학 총장 - 야나이하라 다다오
    야나이하라 다다오는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이자 경제학자, 교육자이며, 도쿄 대학 총장을 역임하고 식민 정책, 기독교 신앙, 평화주의, 시온주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저서를 남겼다.
  • 일본 학사원 회원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 일본 학사원 회원 - 요코타 기사부로
    요코타 기사부로는 일본의 국제법 학자이자 재판관으로, 도쿄 대학 법학부 교수와 일본 학사원 회원을 역임하며 국제법 학계를 이끌었고 최고재판소 장관을 지냈으나, 초기 사회주의적 성향과 천황제 폐지론 주장, 그리고 장관 취임 후 과거 주장을 은폐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난바라 시게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3년의 난바라 시게루
1953년의 난바라 시게루
출생일1889년 9월 5일
사망일1974년 5월 19일
출생지가가와현 오카와군 미나미노촌 (현 히가시카가와시)
학력
모교도쿄 대학(당시 도쿄 제국대학)
경력
직장도쿄 대학
전공정치학
영향
영향을 준 인물마루야마 마사오

2. 생애

난바라 시게루는 가가와현 출신으로 191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로 근무했다. 1921년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로 교단에 섰으며, 1924년 독일영국에서 유학했다. 그는 독일 관념론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했다. 그 성과로 1942년 ‘국가와 종교’, 1959년 ‘피히테의 정치철학’을 발표했다.

1945년 도쿄 대학 법학부장에 부임했고, 도쿄 대학 초대 총장으로 선출돼 6년간 재직했다. 1946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선출됐으며 전후 신헌법 심의에 참여했다. 1947년 교육쇄신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했고, 1949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수상 요시다 시게루와 정면으로 대립하여 전면강화를 주장했다. 1972년부터 《난바라 시게루 저작집》(전 10권)을 간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일본의 주요 동맹국이었던 나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국가와 종교: 유럽 정신사 연구''라는 책을 출판했다. 1945년 3월 도쿄 대학 법학부장이 되었다. 그는 일본의 항복 4개월 후인 1945년 12월에 대학 총장으로 선출되었다.[3]

그는 일본 학사원과 구 제국 대학의 공식 동문 클럽인 가쿠시카이 회장이 되었다. 그는 사후 욱일대수장과 종2위를 수여받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가가와현 출신인 난바라 시게루는 191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로 근무하였다. 1921년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로 교단에 섰으며, 1924년 독일영국에서 유학하였다.[1] 독일 관념론을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하였다.

1889년 9월 5일 가가와현 미나미노에서 설탕 생산 회사를 운영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제1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1] 1914년 졸업 후 고등 문관 시험에 합격하여 내무성에서 근무했다.[2] 7년간 관료로 재직하며 도야마 현 지사를 2년간 역임, 대규모 관개 사업을 시작했다.[2] 1919년에는 노동조합법 초안을 작성했으나 국회에 상정되지는 못했다. 1921년 모교로 돌아가 조교수가 되었다.

난바라 시게루의 출생과 초기 교육 관련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889년 (메이지 22년)9월 5일 - 가가와현 오카와군 미나미노촌 (현재의 히가시가가와시 미나미노)에서 아버지 미요시 사다키치(데릴사위), 어머니 난바라 키쿠의 차남으로 출생. 난바라가는 어머니 키쿠의 몇 대 전 진자에몬이 미나미노 코이쿠스노 집에서 분가, 별호 기시노야라 칭하며 제당업 영위. 조부 마츠조는 조장을 맡았으나, 어머니 키쿠가 어릴 때 가세가 기울어 화재의 스승으로 생계 유지. 메이지 초까지 을 구스노라 칭했지만, 본가와 함께 난바라(훈은 미나미하라)로 변경하고 데릴사위를 맞이함. 시게루가 어릴 때 첫 데릴사위였던 친아버지가 가출, 어머니는 2세의 시게루를 호주로 신고.
1895년 (메이지 28년)히로세 후지타로가 양부로서 키쿠와 결혼.
1901년 (메이지 34년)4월 - 가가와현 오카와군 교원 양성소 입소.
1907년 (메이지 40년)3월 - 가가와현립 오카와 중학교(현 가가와현립 삼본마쓰고등학교) 졸업.
1910년 (메이지 43년)6월 - 제1고등학교 졸업.
1910년 (메이지 43년)7월 -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입학. Uchimura Kanzō|우치무라 간조|preserve=1영어의 제자가 되어 평생 무교회주의 기독교 신자로 지냄. 제1고등학교 입학 당시 교장은 Nitobe Inazō|니토베 이나조|preserve=1영어였으며, 그에게 영향을 받음.
1914년 (다이쇼 3년)7월 -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졸업, 내무성 입성.
1917년 (다이쇼 6년)3월 - 도야마현 이미즈군 군장 임명. 관개 배수 사업 계획 착수 및 농업 공민 학교(현 도야마현립 고스기 고등학교) 설립에 관여.[7]
1919년 (다이쇼 8년)1월 - 내무성 경보국 사무관 임명. 노동조합법 초안 작성 등을 담당.
1921년 (다이쇼 10년)5월 - 내무성 사임,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조수 취임. 내무성 시절 아테네 프랑세에서 프랑스어를 배움. 유럽 유학 후 오노즈카 기헤이지의 후임으로 정치학사 담당.
1925년 (다이쇼 14년)8월 - 교수로 승진, 정치학사 담당.



백우회 송별회(1917년), 앞줄 가운데는 우치무라 간조, 난바라는 앞줄 오른쪽

2. 2. 관료 및 학자 경력

가가와현 출신으로 191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내무성 관료로 근무하였다.[1] 1917년 도야마현 이미즈군 군수로 임명되어 관개 배수 사업 계획 착수와 농업 공민 학교(현 도야마현립 고스기 고등학교) 설립에 관여했다.[7] 1919년 내무성 경보국 사무관으로 임명되어 노동조합법 초안 작성 등을 담당했다.[2] 1921년 모교로 돌아가 조교수가 되었다.[2] 1925년 교수가 되어, 서유럽의 정치 철학과 기독교를 배경으로 공동체론을 연구했고, 1942년 『국가와 종교――유럽 정신사 연구』, 『피히테의 정치 철학』(1959년)을 저술했다. 후쿠다 간이치, 마루야마 마사오는 그의 제자이다.

2. 3. 도쿄 대학 총장과 전후 활동

1945년 도쿄 대학 법학부장에 부임하였고, 이후 도쿄 대학 초대 총장으로 선출되어 6년간 재직하였다.[3] 전후 첫 대학 총장으로서, 대학을 보다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기관으로 전환하는 것을 감독했다. 그의 지도 하에, 대학은 최초의 여성 학생을 입학시키고, 대학 생활협동조합과 도쿄 대학 출판회를 설립했으며, 대학의 체육 문화를 부활시켰다.

1946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선출되어[9] 전후 신헌법 심의에 참여하였다. 8월 27일 귀족원 본회의에서 신헌법안의 전쟁 포기 조항에 대해 "역사의 현실을 직시하여, 적어도 국가로서의 자위권과 그것에 필요한 최소한도의 병비를 생각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10] 12월 16일 귀족원 본회의에서는 상징 천황제로의 이행에 따른 황실 전범 개정에 따라 "천황의 자발적 퇴위" 규정을 설치할 것을 주장했으나,[11] 반대 다수로 부결되었다.

1947년 교육쇄신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하였고, 1949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수상 요시다 시게루와 정면으로 대립하여 전면강화를 주장하였다. 이 일로 난바라는 요시다 시게루로부터 "곡학아세의 무리"라고 지목되어 비판을 받았다. 1950년 3월 퇴관 이후 학사원 이사장, 일본 학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도쿄 대학 출판회 창설에도 관여하였다.

2. 4. 말년

1950년 3월, 도쿄 대학에서 퇴임한 후 일본 학사원 이사장, 일본 학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도쿄 대학 출판회 창설에도 관여하였다. 아라라기파의 가인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집 『형상』이 있다.[8] 1967년 1월에는 궁중 가회시 소환을 맡았다.[13] 1974년 5월 19일 사망하였으며, 사후 욱일대수장과 종2위가 추서되었다.

3. 사상

난바라는 가가와현 출신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성 관료,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를 거쳐 독일영국에서 유학하며 독일 관념론을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였다. 그는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하였으며, 1959년 ‘피히테의 정치철학’을 발표하였다.[1]

무교회주의 입장에서 국가주의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14]

3. 1. 국가와 종교

난바라 시게루는 독일 관념론을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하였다. 1942년 ‘국가와 종교’를 발표하였다.[14] 무교회주의 입장에서 국가주의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14]

3. 2. 평화주의

난바라는 무교회주의 입장에서 국가주의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14] 1949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당시, 난바라는 서방 민주주의 국가와만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에 반대하며 전면 강화를 주장했다. 그는 서방과 동방 블록 간의 전쟁이 발생할 경우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 총장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이 견해를 공유하기도 했다.[4]

이는 서방 국가와만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강력히 지지했던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분노를 샀고, 그는 난바라를 '지식을 왜곡하여 대중에게 아첨하는 사악한 학자(曲学阿世の輩)'라고 비난했다.[5][15]

3. 3. 민주주의와 교육

난바라는 민주주의와 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도쿄 대학을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기관으로 변화시키는 데 앞장섰다. 그의 지도 아래, 도쿄 대학은 최초로 여성 학생을 입학시켰고, 대학 생활협동조합과 도쿄 대학 출판회를 설립했으며, 대학의 체육 문화를 부활시켰다.[3]

1947년 난바라는 교육쇄신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하며 전후 일본 교육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

4. 평가와 영향

난바라 시게루는 가가와현 출신으로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 관료,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를 거쳐 독일영국에서 유학했다. 독일 관념론 연구를 바탕으로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했으며, 1942년 ‘국가와 종교’, 1959년 ‘피히테의 정치철학’을 발표했다.

1945년 도쿄 대학 법학부장을 거쳐 초대 총장으로 6년간 재직했다. 1946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신헌법 심의에 참여했고, 1947년 교육쇄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72년부터 《난바라 시게루 저작집》(전 10권)을 간행했다.


  • 『정치사상에 있어서의 서구와 일본 : 난바라 시게루 선생 고희 기념』(상・하, 후쿠다 칸이치 편, 도쿄 대학 출판회, 1961년)
  • 『회상의 난바라 시게루』(마루야마 마사오・후쿠다 칸이치 편, 이와나미 서점, 1975년)

4. 1. 학문적 업적

난바라 시게루는 독일 관념론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하였다. 1942년 ‘국가와 종교’, 1959년 ‘피히테의 정치철학’을 발표하였다.

4. 2. 민주주의와 평화에 대한 기여

난바라는 1949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요시다 시게루 수상과 정면으로 대립하여 전면강화를 주장하였다.[2] 귀족원 의원으로서 서방 민주주의 국가와만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에 반대하며, 서방과 동방 블록 간의 전쟁이 발생할 경우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 이는 서방 국가와만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강력히 지지했던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분노를 샀고, 그는 난바라를 '지식을 왜곡하여 대중에게 아첨하는 사악한 학자(曲学阿世の輩)'라고 비난했다.[5]

4. 3. 도쿄 대학 개혁

난바라 시게루는 일본의 항복 4개월 후인 1945년 12월에 도쿄 대학 총장으로 선출되었다.[3] 전후 첫 대학 총장으로서, 도쿄 대학을 보다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기관으로 전환하는 것을 감독했다. 난바라 시게루의 지도 하에, 도쿄 대학은 최초의 여성 학생을 입학시키고, 대학 생활협동조합과 도쿄 대학 출판회를 설립했으며, 대학의 체육 문화를 부활시켰다.[3]

5. 저서


  • 国家と宗教일본어 유럽 정신사 연구 (이와나미 서점, 1942년/개정판・이와나미 문고, 2014년 9월)
  • 学問・教養・信仰일본어 (곤도 서점, 1946년)
  • 歌集 形相일본어 (창원사, 1948년/이와나미 문고, 1984년 7월, 해설 효가미 히데히로) ISBN 4003316711
  • * 복각판 (도서월판, 1968년/호루프 출판, 1975년)
  • 日本と米国일본어 (아사히 신문사, 1950년)
  • 人間と政治일본어 (이와나미 신서, 1953년)
  • フィヒテの政治哲学일본어 (이와나미 서점, 1959년)
  • 自由と国家の理念일본어 - 정치 철학 논문집 (세이린 서원, 1959년, 신판 1965년)
  • 政治理論史일본어 (도쿄 대학 출판회, 1962년/신장판 2007년) ISBN 4130301454
  • 現代の政治と思想일본어 새로운 역사의 전환점에 서서 (도쿄 대학 출판회, 1963년)
  • 日本の理想일본어 (이와나미 서점, 1964년)
  • 文化と国家일본어 (도쿄 대학 출판회, 〈상・하〉 1968년/신장판〈전1권〉 2007년) ISBN 4130010050
  • 歴史を創るもの일본어 (도쿄 대학 출판회, 1969년)
  • 難波原茂書簡集일본어 부・난바라 시게루 앞으로의 서간 (이와나미 서점, 1987년) ISBN 4000015354
  • 政治哲学序説일본어 (이와나미 서점, 1988년, 복간 1993년) ISBN 4000011855-저작집 「제5권」
  • 口述 難波原重回顧録일본어 (마루야마 마사오・후쿠다 간이치 편, 도쿄 대학 출판회, 1989년) ISBN 413033039X
  • 日本平和論大系13 難波原重일본어 (이에나가 사부로 책임 편집, 일본 도서 센터, 1994년) ISBN 4820571540
  • 人間の記録70 難波原重일본어 고향 (일본 도서 센터, 1998년) ISBN 4820543156
  • 難波原重対話일본어 민족과 교육 (도쿄 대학 출판회, 2001년) ISBN 4130030043
  • わが歩み来し路 難波原重일본어 고향에 말하다 (동 간행 위원회 편, 도쿄 대학 출판회, 2004년) ISBN 4130330497
  • '''難波原重著作集일본어''' (마루야마 마사오·후쿠다 칸이치 편, 이와나미 서점, 1972-73년, 복간 1984년, 2006년)

# 国家と宗教일본어

# フィヒテの政治哲学일본어

# 自由と国家の理念일본어

# 政治理論史일본어

# 政治哲学序説일본어

# 学問・教養・信仰, 歌集 形相일본어

# 文化と国家일본어

# 現代の政治と思想일본어 - 새로운 역사의 전환점에 서서, 오노즈카 키헤이지 - 총장 시대와 만년

# 日本の理想일본어

# 歴史を創るもの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真理の探究に生涯を捧げる https://www.t-shinpo[...] 2024-04-04
[2] 간행물 「トネリコの里」からの「知性・教養・個性」と南原繁の教育哲学 : 自校史・郷土教育と子ども育成学構築の基礎的研究 https://dl.ndl.go.jp[...] 富山国際大学 2015-03-31
[3] 백과사전 南原繁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 웹사이트 南原繁と現代 今問われているもの 鴨下 重彦 No.856(平成18年1月) {{!}} 一般社団法人学士会 北大・東北大・東大・名大・京大・阪大・九大 卒業生のためのアカデミック・コミュニティー・クラブ https://www.gakushik[...] 2024-04-04
[5] 웹사이트 みんゆうNet https://www.minyu-ne[...] 2024-04-04
[6]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7] 간행물 「トネリコの里」からの「知性・教養・個性」と南原繁の教育哲学 : 自校史・郷土教育と子ども育成学構築の基礎的研究 https://dl.ndl.go.jp[...] 富山国際大学 2015-03-31
[8] 백과사전 南原繁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9] 뉴스 官報 1946-03-26
[10] 뉴스 第90回帝国議会貴族院議事速記録第24号 官報号外 1946-08-28
[11] 뉴스 第91回帝国議会貴族院議事速記録第6号 官報号外 1946-12-17
[12] 서적 『東京六大学応援団連盟36年の歩み 応援団・六旗の下に』 https://dl.ndl.go.jp[...] ユーゴー 1984
[13] 웹사이트 昭和42年歌会始お題「魚」 https://www.kunaicho[...] 宮内庁
[14] 사전 南原繁 https://kotobank.jp/[...] デジタル大辞泉
[15] 백과사전 南原繁 https://kotobank.jp/[...]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